"2013년 우리나라의 에이즈 감염자는 누계 1만 명을 넘어 공식적으로 에이즈 확산 위험 국가가 되었습니다. 2008년 백신 개발 국제 심포지엄에서, 한국은 에이즈 감염자가 잠복기를 거쳐 '폭발 직전'이라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한국에이즈학회 부회장은 '미국이나 태국의 사례를 보면 에이즈 감염자가 1만 명을 넘어서면서부터 신규 감염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우리도 이와 비슷하게 에이즈가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며(동아일보, 2008.4.4.) 한국이 에이즈 확산 위험 국가가 될 것을 경고한 바 있습니다."
한국은 "에이즈 위험국가?" 그것도 틀렸다. 中 발췌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20301

위와 같이 2014년에 건강한 사회를 위한 국민연대 블로그에 "한국은 에이즈 위험 국가?" 라는 글이 올라오면서 많은 이슈가 되었다. 하지만 최근에 이 블로그 글에 대한 해명 자료가 발표되면서 AIDS(후천성 면역결핍증,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와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들이 말하고 있는 "에이즈 위험 국가"라는 게 무엇인지 짚기 전, 또한 감염인이라고 하여 차별받지 않도록 먼저 HIV와 AIDS에 관해 공부해보도록 하자.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우리 몸에 Non-self한 병원균(pathogen)이 들어오게 되면, 초기에 macrophage, NK cell 등의 대식세포가 병원균을 인식하고, 해당 병원균의 정보를 Helper T-cell로 전달하게 된다. 그 병원균의 정보를 통해 killer T cell이 해당 병원균을 직접 죽이거나 B cell을 통해 그 정보를 기억해 두었다가 이후에 다시 침투하였을 때 병원균이 작용하지 못하도록 항체를 만들어 물리치고 있다.





HIV와 AIDS의 정의

HIV는 Human Immunodeficiency Virus로 인간의 면역체계를 파괴하는 레트로 바이러스이다. 즉 단백질과 RNA로 된 바이러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 몸에 침투한 HIV 는 바이러스의 정보를 다른 세포들에 전달하는 Helper T-cell 중 하나인 CD4+ T-cell 을 공격한다. 우선 CD4 T-cell 에 구멍을 뚫고, 자신의 RNA를 세포 속에 집어넣는다. 세포 안에 들어간 RNA는 ‘역전사효소’라는 효소를 만들어 DNA로 변신한 다음 CD4의 DNA 속에 끼어들어 간다. 다음은 CD4를 이용해 수백~수천 개 HIV로 증식한다. 충분히 증식한 HIV는 CD4의 ‘자살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이용가치가 끝난 CD4에게 ‘자살하라’는 명령을 내림으로써 CD4를 죽게 만드는 것이다. 이를 통해 CD4가 혈액 1ml 안에 2백 개 이상 떨어지게 되면,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무너지게 되어 평소 쉽게 퇴치했던 병균들이 우리 몸을 유린하게 된다. 이를 후천적 면역결핍 증후군(AIDS)라고 한다.




[그림2] HIV life cycle


HIV의 감염

HIV의 전파는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가 있는 체액의 접촉을 통해 이루어진다.

의학계 통계에 따르면 HIV가 체내로 유입될 확률은 보균자의 혈액을 직접 수혈받을 때가 95% 이상, 감염된 산모가 출산하였을 때 아기가 보균하게 될 확률이 25~30%, 의료행위 중 사고가 0.3%, 성관계를 통한 확률이 0.1~1%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감염 즉, 약 98% 이상의 HIV가 전염되는 경우는 성관계를 통한 전염이라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에이즈의 전염 경로를 오인하여 보균자들이 불가피하게 사회로부터 고립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침, 땀 등의 타액 또는 감염인과의 피부접촉, 모기 등으로는 전염되지 않는다고 하니 특별한 의료사고가 일어나지 않는 한 AIDS에 걸릴 일은 상당히 드문 일이다.



[그림3] HIV 감염경로


HIV 잠복세포

HIV 감염환자에 대한 anti-retroviral therapy 등의 치료법 도입으로 인해 HIV로 인한 사망률이 크게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HIV virus의 일부는 잠복감염 상태로 비활성화되어 CD4 T-cell 에 삽입된 채로 치료법으로도 완벽히 제거되지 않아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재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잠복감염 세포까지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HIV의 완전한 치료이므로 HIV 잠복세포의 메커니즘과 제거를 위한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 4] HIV의 잠복
출처 : HIV latency and reactivation model(Cohen et al., 2011)


HIV 잠복세포와 후성유전적 요소의 역할

HIV 잠복감염의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하여 인간 게놈상의 virus 삽입 위치, Tat 혹은 Rev와 같은 virus 단백질의 역할, 숙주 세포의 전사 인자나 microRNA와 같은 조절인자, virus 삽입 위치의 히스톤 변형 혹은 메틸화와 같은 크로마틴 상태 등 다각도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특히 HIV 잠복세포 내의 삽입된 HIV 전사 작용이 후성유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보고가 아래와 같이 지속해서 이루어지면서 HIV 만성감염 세포에서 HIV 5' LTR의 후성유전학적 변형이 HIV의 전사 및 복제를 조절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히스톤 아세틸화를 제거하는 효소인 HDAC은 YY1, LSF, CBF1과 같은 숙주의 전사인자들에 의하여 HIV의 LTR에 결합하여 HIV의 전사를 억제함(Gordon et., al 2006, Ylisastigal et al., 2004, Williams et al., 2006).
  2. 전사 유도와 주로 관련이 있는 히스톤 아세틸화와는 달리, DNA 메틸화는 발현 유도와 억제 기능이 모두 알려졌는데, 그 중 H3K9me3 변형은 SUV39H1 효소에 의해 매개되어 HIV LTR에 heterochromatin 을 형성함으로써 전사를 억제함(du Chene et al., 2007).
  3. 다른 전사 억제효소인 CTIP2는 HDAC1, HDAC2, SUV39H1, HP1 단백질들을 유도하여 heterochromatin 을 형성함으로써 HIV 전사 억제를 유도함(Marban et al., 2007)

[그림 5] HIV 잠복세포를 조절하는 후성유전학적 기작
출처 : Epigenetic regulation mechanism of HIV latency cell(Coiras et al., 2009)


참고 영상

(1) HIV/AIDS 치료는 왜 그렇게 어려울까요 - 쟈넷 이와사(https://youtu.be/0TipTogQT3E) 
(2)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HIV란?(https://youtu.be/uMGtJa7jPo4)


작성자 : DSC 박 원

Posted by 人Co

2018/10/19 08:40 2018/10/19 08:40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s://post-blog.insilicogen.com/blog/rss/response/295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 Previous : 1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 81 : Next »